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7 06:52
본문
Download :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hwp
몇몇 경우에는 이러한 전파지연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만약 하나의 입력 變化(변화)와 몇 개의 전파지연 조합의 결과로 한 회로 출력이 상수 1을 유지해야 할 때 순간적으로 0로 간다면, 그 회로는 정적 1-해저드(static 1-hazard)를 가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행동…(skip)
Download :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hwp( 14 )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다. 어떤 경우에는, 짧은 시간 주기 내에 게이트에 다중 입력 變化(변화)가 일어나면, 게이트는 입력變化(변화)에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한 과도현상은 입력으로부터 출력까지 다른 경로가 다른 전파지연을 가질 때 일어납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만약 출력을 0로 유지해야 할 때, 순간적으로 1로 가면, 그 회로는 정적 0-해저드를 가진다고 합니다. 만약 회로에 해저드가 없다면 회로에 존재할 수 있는 전파지연들의 어떤 조합에 마주향하여 도, 그리고 어떤 단일 입력의 變化(변화)에 대하여도 출력은 과도현상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디지털,논리,회로,설계,리포트,조합,회로,Combinational,Logic,Circuit,공학기술,레포트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공학기술레포트 , 디지털 논리 회로 설계 리포트 조합 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설명
디지털논리설계(13155)
결과 Report
제출날짜: 2xxx년 11월 2일(KST)
實驗(실험) 이름: Combinational Logic Circuit
담당 교수님: 윤한섭 교수님
담당 조교님: 유용상 조교님
학번: 2xxx033727
이름: 이승훈
@ Hazard에 관한 이론(理論)
조합회로의 입력이 변할 때, 원하지 않는 스위칭 과도현상(transient)이 출력에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과도현상의 발생은 회로에 존재하는 전파지연뿐만 아니라 게이트들이 입력 變化(변화)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달려있습니다. 출력이 0에서 1로(또는 1에서 0로) 변하기로 되어 있을 때, 만약 출력이 세 번 또는 그 이상 變化(변화)한다면 그 회로는 동적 해저드(dynamic hazard)를 가진다고 합니다. 반면, 회로가 해저드를 포함하고 있다면, 회로 출력에 과도현상을 야기하는 전파지연의 조합이나 입력에서의 變化(변화)가 존재합니다.
해저드는 회로의 속성이며 회로에 존재하는 전파지연들과는 무관합니다. 과도현상을 발생시키는 전파지연의 조합은 회로 구현에서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