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kr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 state1 | state.kr report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 state1

본문 바로가기

state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12:28

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hwp




『고려사』는 조선 초 세종의 교지를 받아 김종서, 정인지, 이선제, 정창손이 지은 고려history서로 세가(世家) 46권, 지(志) 39권, 연표 2권, 열전 50권, 목록 2권으로 총 139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451년(문종1년)에 완성되었다. 『고려사』「악지」의 전체적인 구조는 『고려사』권70 악1(樂一) 서두에 있는 총서의 내용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아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 목 차 ◆ Ⅰ. 서론 Ⅱ. 『고려사』「악지」의 구조와 내용 1. 『고려사』「악지」의 구조 2. 『고려사』「악지」의 세부 내용 Ⅲ. Ⅳ. 참고문헌
.

Ⅱ. 『고려사』「악지」의 구조와 내용


Ⅳ. bibliography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Ⅲ.
Ⅰ. 서론

순서

.
1. 『고려사』「악지」의 구조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夫樂者, 所以樹風化, 象功德者也. 高麗史祖, 草創大業, 而成宗立郊社, 躬禘祫. 自後文物始備, 而典籍不在, 未有所考也. 睿宗朝, 宋賜新樂, 又賜大晟樂. 恭愍時, 太祖皇帝, 特賜雅樂, 遂用之干朝廟. 又雜用唐樂及三國與當時俗樂. 然因兵亂, 鍾磬散失. 俗樂則語多鄙俚, 其甚者, 但記其歌名與作歌之意. 類分雅樂 ․ 唐樂 ․ 俗樂, 作樂志.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1. 『고려사』「악지」의 구조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8546_01_.jpg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8546_02_.jpg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8546_03_.jpg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8546_04_.jpg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8546_05_.jpg
설명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hwp( 64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2. 『고려사』「악지」의 세부 내용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다. 그 중에서도 속악편은 다시 속악 일반론, 악기, 정재(呈才), 고려와 삼국의 속악가사와 용속악절도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그 중에서도 『고려사』「악지」는 앞서 말한 지(志) 39권 중 24,25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志) 권 24의 악1(樂一)에는 아악(雅樂)이, 지 권25의 악2(樂二)에는 아악(雅樂)을 제외한 당악(唐樂), 속악(俗樂), 삼국속악(三國俗樂), 용속악절도(用俗樂節度)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를 비롯하여 고려시대의 음악과 무용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삼국의 가요와 고려의 가요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어 국문학적으로도 그 중요성이 높은 문헌 자료(data)라 할 수 있다아 따라서 여기에서는 『고려사』「악지」의 전체적인 구조와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보기로 한다. 다만 「악지」<아악부(雅樂部)>는 「예지(禮志)」와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으므로 china의 사서(史書)의 influence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Ⅱ. 『고려사』「악지」의 구조와 내용
『고려사』「악지」는 본래 고려시대의 history를 기술한 『고려사』중에서 음악에 관한 부분으로 권70과 권71에 해당된다. 『고려사』「악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악(樂)에 대한 짤막한 일반론을 맨 앞에 두고, 아악(雅樂)․당악(唐樂)․속악(俗樂)의 三個篇을 차례로 배열하였다. 그러나 「악지」 전체의 구조를 본다면 매우 다르다.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사 악지의 구성과 내용


여기에서는 공민왕 때 명나라의 태조 황제가 아악을 하사하여 조정과 종묘에서 사용하게 된 것이나 당악과 삼국 및 당시의 속악을 섞어 쓴 것, 속악은 비리한 것이 많아 심한 것은 노래의 이름과
◆ 목 차 ◆

『고려사』제70권과 제71권에 속하는 『고려사』「악지」는 우선 조선이 동양적 통치관례를 따르던 유교국가라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예(禮)와 악(樂)을 함께 다루지 않고 악(樂)을 분리하여 「악지」로 구성한 것은 눈여겨볼만한데 그 이유는 『고려사』의 다른 지(志)들이 china history서인 『원사(元史)』, 『송사(宋史)』의 체제를 따른 것에 반해 「악지」의 경우 『원사』,『송사』와의 유사점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Total 18,074건 908 페이지

검색

REPORT 74(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ww.state.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ww.state.kr All rights reserved.